영산암... 더보기 봉정사 대웅전 바로 아래 봉정사에 대한 글을 봉정사 홈페이지에서 가져왔는데 이제보니 아직도 봉정사 대웅전이 보물이라고 되어있군요 2009.06.30일에 보물에서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봉정사의 정전(正殿)으로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건물(建物)로 추정된다. 주칸(柱間)의 창문(窓門)이나 벽체 등 일부가 초창후(初創後) 변경되었으나 골격은 전형적인 다포양식(多包樣式)을 잘 갖추고 있다. 특히 공포(공包)의 힘있고 가식없는 수법(手法)은 초기의 다포양식 특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건물 내부(內部)에서 가구형식(架構形式)이나 세부기법에서도 외부와 같이 단조로우면서 견실한 공법(公法)이 초기의 다포양식 특징들을 보이고 있다. 단청(丹靑)은 창건(創建)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고려적(高麗的) 요소(要素)를 지니고 .. 더보기 봉정사 극락전 문화재청-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황새를 만들어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앉은 자리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이름지었다는 전설이 전하여 온다. 극락전은 원래 대장전이라고 불렀으나 뒤에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1972년 보수공사때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지붕을 크게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담긴 상량문을 발견하였는데, 우리 전통 목조건물은 신축후 지붕을 크게 수리하기까지 통상적으로 100~150년이 지나야 하므로 건립연대를 1200년대 초까지 올려볼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4칸 크기에,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 더보기 안동 봉정사...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므로 '천등산'이라 이름하고 그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다. 그 뒤 더욱 수행을 하던 능인스님이 도력으로 종이 봉황을 접어서 날리니 이곳에 와서 머물러 산문을 개산하고, 봉황이 머물렀다. 하여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를 따서 봉정사라 명명하였다. 그 뒤 6차례에 걸쳐 중수하였으며, 국보 제15호인 극락전, 보물 제311호인 대웅전, 보물 제1614호 후불벽화, 보물 제1620호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보물 제 448호인 화엄강당, 보물 .. 더보기 솔섬... 지나다가 하늘을 보고 잠시 들렸다 그런데 내 생각과 달라...바로 발길을 돌렸고... 한참후에 잠시 다시 들렸더니 너무 많은 사람들이 삼각대를 펼쳐놓고 있어서 미련없이 다시 후퇴... 더보기 죽변항 게...로 항상 사람들로 북적이던 죽변항 하지만 평일 오후시간대라 그런지 한산하다... 더보기 호산항... 장노출사진을 담으려 찾아갔던 고포..하지만 왠지 아쉬워 호산항으로 들렸다가 잠시 산책만... 더보기 삼척 산양마을... 항상 지나며 드는 생각 저 바위산에 한번은 오르고 싶다... 삼척 산양마을을 지나다가... 더보기 함백산 만항재... 지독하게 차가운 바람이 부는 함백산 만항재... 아...잊어버렸다 복수초 사진을 담아야 하는데....ㅠㅠ 더보기 어느 복권방... 사람들의 가장 원초적인 욕망이 꿈틀대는 복권방 며칠동안 수시간이상 앉아있으면서 무척 묘한 느낌이 들었다 사람들의 대화속에서도 느껴지는 묘함... 나 또한 "대박"의 꿈이 없다면 거짓말! 마음에 가득찬 물질의 풍요에 대한 욕망이 감춰도 감춰지지는 않을것이다 나름, 물질에 무리한 큰 욕심은 없다고 생각했었지만 그래도 가끔씩 꿈틀대는 밖으로 조금씩 비짚고 나오는 그 마음들은 자제하기가 ... 이 곳에 있는 동안 충실해지는 기본적인 욕망 그리고 며칠동안 난 그렇게 아파해야만 했다... 더보기 영덕 풍력발전단지... 전체적으로 날씨가 영...ㅎㅎ 더보기 이전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7 다음